티스토리 뷰

 다발성 장기부전 증상 



최근 김기중씨가 한의원에서 부황 치료 후 다른 병원으로 갔지만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좋지 않게 되었는데요 다발성 장기부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발성장기부전증후군(多發性臟器不全症候群-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MODS)은 장기 씨스템의 전반적 붕괴(全般的崩壞-systemic breakdown)가 되는 과정으로 환자는 생존을 위해 일반적으로 집중치료실(集中治療室-intensive care unit)에 입원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증후군은 일부의 경우 생존이 가능하게 되기도 하지만 상당한 합병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과정은 일반적으로 전염성질환과 같은 감염, 수술이나 외상의 반응, 기타의 상태로 오게 된다. 감염은 퍠혈증(敗血症-sepsis)을 일으키고 몸전체로 균이 확산되는 패혈성쇼크(septic shock)와 같은 전신성염증반응(全身性炎症反應-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인해 장기들에 긴장을 초래하고 내부장기가 질병과 싸우는 과정에서 다발성장기부전증후군을 일으키게 됩니다하나나 그이상에 장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것이죠 



과거에는 장기실패(臟器失敗-organ failure)로 표현을 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정확한 표현이 아니게 된다. 장기실패는 기능의 회복가능성이 없는 상태가 되고 환자는 장기이식이나 평생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다발성장기부전증후군의 경우에는 회복에 가능성이 있게 되는데 환자는 감염과 싸우는 과정과 회복의 과정에 있어서 항상성(恒常性-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해 관련된 장기에 따라 적절한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관련되는 장기로 간, 신장, 폐, 심장등이 있게 되고 위장계도 있게되고 일부환자는 피부에서도 일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높은 수치의 백혈구, 고열, 빠른 심장박동, 과호흡(過呼吸-hyperventilation)을 보이게 된다. 치료에는 정맥주사를 통해 적절한 수화(水化-hydration)을 유지케하고, 투석(透析-dialysis)을 통해 손상된 신장을 대신하게 되고, 제대로 호흡을 할수 없는 환자에게 기계적 통풍(機械的通風-mechanical ventilation)을 가능하게 해야 합니다. 심장박동의 문제도 기계적 제세동기의 이식을 통해 안정화 시킬수 있게 됩니다

극도로 불안정한 환자는 지속적인 관찰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일부의 경우 집중치료실의 간호사가 전담을 하여 관찰과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게 됩니다 환자가 합병증을 보일 경우 상태에 따라 치료계획도 달라지게 됩니다 환자가 회복단계에 들어가게 되면 집중치료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이전하여 치료가 제공되고 장기의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올 정도가 될때까지 치료를 계속하게됩니다 




댓글